87년 민주화까지 대한민국과민
일제강점기부터 1987년 민주화까지 대한민국과민주주의를 억압하는 세력은 이곳에 독립운동가들과 민주화 인사들을 가두고 국민을 억압했지만 결국 승리한 건 국민들이었습니다.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사이에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안을 통과시켜 부자들을 대변한 여야 정당도 있다.
비상계엄은민주주의를 위협했지만 동시에 연대의 힘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쪽방촌 주민과 함께 탄핵 집회에 참여한 이 활동가는 탄핵집회가.
가장 낮은 곳에서 열악하게 일하는 노동자들이 힘들다고 이야기하는 건데 돌아오는 건 깔보는 시선”이라고 말했다.
‘노동 없는민주주의’가 비정규직을 ‘사회적 신분’으로 고착화시킨 것이다.
다만 변씨는 이번 탄핵 정국에서 “약자가 약자를 돕는 연대”가.
획득한 가치 체계는 변화할지언정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최근 ‘응원봉’이 핫이슈였다.
콘서트장에 있어야 할 응원봉이민주주의라는 소중한 가치를 지켜내는데 사용됐기 때문이다.
그 참신한 의미 변화 과정을 잠깐 살펴보자.
빛의 쓸모는 어둠에서 탁월하다.
거부한 데 이어 법원이 발부한 체포영장에도 불응한 데 대해, 여권 원로인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민주주의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건민주주의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이사장은 3일 기독교방송(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현 시국상황에.
준 위기 수습 과정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이다.
윤 대통령에 대해선 언급을 피하는 형식으로 실망감을 드러내면서도 한국민주주의의 저력에 대해 신뢰를 표한 것은 의미가 크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비상계엄 해제 직후 ‘한국민주주의의 스트레스.
탄핵이라는 단일 구호로 묶일 수 없는 다양한 목소리가 터져나오는 만큼 권력구조 개편을 넘어 더 나은민주주의를 위한 ‘전면 개헌’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진태원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교수는 지난달 9일 ‘해방 80년, 한국.
[신년기획 커버스토리 : 2025 위기극복 키워드 '한국인'⑨] “한국민주주의회복력을 높이 평가한다.
”“한국의 상황은 심란하면서도 희망차게 느껴진다.
”“한국의민주주의는 순탄치 않지만 대중의 헌신이 수십 년간민주주의를 보호하고 있다.
일본계 3세 미국 정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 스탠퍼드대 교수는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쇠퇴(Democratic backsliding)’의 시기에 있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으로 복귀하는 것은 미민주주의에 매우 나쁜 선례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2대 국회가 시작되자마자 숱한 자괴감이 들었다"며 "의회주의자인 나로서는 다수의 폭정으로 의회민주주의가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도 그저 단말기에 '반대'밖에 누를 수 없는 현실이 참을 수 없었다"고 운을 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