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팬들이 故 최동원을 ‘불세출의 에이스’이자 전설로 기억하는 가장 큰 이유는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보여준 불굴의 투혼 때문이다. 당시는 지금과는 포스트시즌 체제가 달라 전기리그 우승팀과 후기리그 우승팀이 한국시리즈에 맞붙는 방식이었다. 전기리그 우승팀인 삼성은 후기리그 막판 노골적인 져주기 게임을 연발하며 한국시리즈 파트너로 롯데를 골랐다. 한국시리즈 우승을 위해선 롯데가 유리하다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삼성의 오판이 하나 있었다. 롯데에는 최동원이 있었다는 것. 최동원은 그해 한국시리즈에 무려 5경기에 등판해 혼자 4승을 모두 책임지며 롯데의 한국시리즈 첫 우승을 이끌었다. 1차전 선발로 등판해 9이닝 완봉승을 거둔 뒤 이틀을 쉬고 3차전에 다시 선발로 나서 9이닝 2실점 완투승을 거뒀다. 이틀 쉬고 5차전에 선발 마운드에 오른 최동원은 8이닝 3실점(2자책)으로 패전투수가 됐다. 하루 뒤 6차전에 구원등판해 5이닝 무실점으로 구원승을 거둔 최동원은 하루만 쉬고 7차전에 다시 선발 마운드에 올라 9이닝 4실점(4자책) 완투승으로 롯데의 우승을 직접 만들어냈다. 투수 혹사에 대한 기준이 달라진 현대야구에서는 절대로 나올 수도, 나와서도 안 되는 불멸의 대기록이다. 투수 분업화가 체계적으로 갖춰진 현대 야구에선 7전4승제의 포스트시즌에선 보통 4선발 체제를 쓴다. 1차전에 선발 등판한 투수가 5차전, 2차전 선발이 6차전에 나오는 식이다. 아무리 뛰어난 에이스 선발투수여도 2경기 이상 등판이 쉽지 않은 구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