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보강 사
한국공항공사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보강 사업을 하면서 127t에 달하는 철근콘크리트를 주문한 것으로 1일 파악됐다.
로컬라이저를 지지할 상판을 고강도콘크리트판으로 개량한 것이다.
국민일보가 1일 확보한 2021년 4월 한국공항공사의 ‘무안국제공항.
안테나)콘크리트구조물과 관련해 전국 14개 공항의 설치 현황을 전수조사한다고 1일 밝혔다.
로컬라이저와 같은 각종 항행안전시설의 재질과 안전성 여부 등을 재확인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14개 공항 가운데 로컬라이저 지지대를콘크리트로 시공해 항공기 오버런(이착륙 시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에 충돌.
로컬라이저를 받치는 2m가 넘는 둔덕의 재질이콘크리트로 돼 있어 피해가 커진 게 아니냐는 지적에 이같이 답한 것.
특히 콕스 씨는 “(둔덕은).
탑승객 생존에콘크리트구조물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면밀히 들여다보는 게 합동조사팀의 주요 과제가 될 거란 의미다.
국토부 등은 제주항공 여객기가 1차.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둔덕’ 개량 공사가 ‘부서지기 쉽도록 설계하라’는 취지의 설계 지침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설계와 시공 과정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2007년 개항 당시 설치된콘크리트둔덕은 2023년 개량 공사를 거쳤다.
그 무렵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활주로에서 이탈해콘크리트둔덕과 충돌했다.
실시간 뉴스 속보를 보면서 마음을 졸였다.
한 언론이 사고 여객기 탑승자 명단을 공개했고, 그곳에서 낯익은 두 이름을 발견했다.
대학원 동기로 인연을 맺게 된 부부였다.
아마 그들도 나와 비슷한 한 해를.
동체 착륙 중에 속도를 줄이지 못한 여객기가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단단한콘크리트구조물과 충돌하면서 폭발, 피해를 키웠다는 것이다.
경사진 지형 때문에 로컬라이저가 둔덕 위에 설치돼 있었고 둔덕 자체가 단단한콘크리트로 보강돼 있었다.
‘설마’ 사고가 나겠느냐는 안일한 생각이.
이게 흙으로 덮인콘크리트구조물이어서 사고 피해가 커졌다는 분석이 쏟아졌다.
항공기와 충돌하면 쉽게 부서지도록 로컬라이저를 설치한 외국 공항 사례와도 너무 달랐다.
http://xn----oe6ez9n9wr7oaw4jc8bx76bmsb.kr/
활주로 끝에콘크리트구조물이 설치된 건 최악의 공항 설계라는 해외 항공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국토교통부는 “규정상.
대규모 인명피해 원인으로 지목된콘크리트둔덕은 2022년부터 진행된 추가 공사를 통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아울러 인명 피해를 크게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콘크리트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 로컬라이저는 2022년부터 추가 공사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암반에 대한 검증 절차를 거친 뒤, 올 6월부터콘크리트를 붓고 본격적으로 건물을 올릴 것”이라며 “새해에도 공사를 차질 없이 이뤄내 ‘100년 가는 원전’을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신한울 3·4호기는 ‘탈(脫)탈원전’과 ‘원전 생태계 회복’의 상징이다.
2017년 발전 사업 허가를.
로컬라이저로 불리는 방위각 시설이콘크리트둔덕으로 만들어져,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정부가 전국의 모든 공항 시설을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문제의콘크리트둔덕이 규정을 위반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여전히 판단을 유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