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이 생산하는 비스무트와 안티모니 같은 전략광물의 공급망이 중국의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선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경영권을 쥐게 될 경우 이러한 핵심 자원의 생산과 관리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비철금속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국내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비스무트와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중국의 전략광물 수출 통제 조치에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스무트는 4세대 소형 원자로와 원자력 잠수함에 쓰이는 전략물자로, 수출할 때 건별로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매우 중요한 품목이다. 국제 환경규제로 황동 제품에 연 사용이 제한되면서 연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에 대비해 전자업계에서도 네오디뮴 자석의 대체재로 활용될 수 있다. 고려아연은 연간 약 900t의 비스무트를 생산하며 국내 방위산업을 포함한 주요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안티모니는 섬유, 플라스틱, 전자기기의 불연성 향상을 위한 삼산화안티몬 제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국내 안티모니 시장의 60%를 고려아연이 책임지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안티모니와 함께 갈륨, 저마늄을 전략물자로 지정하고 수출을 통제하면서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은 국내에서 방위산업과 전략물자 측면에서 비스무트와 안티모니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중국의 안티모니 수출 통제에도 국내 영향이 적었던 이유는 고려아연이 기존 시장의 60%를 공급하고 있어 추가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영풍과 MBK가 이런 전략광물자원을 관리하고 생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