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GGGF] 주요 대학 전 총장 "AI 교육 한계 명확…등록금 인상으로 재정 확보해야"

 

[2024 GGGF] 주요 대학 전 총장 "AI 교육 한계 명확…등록금 인상으로 재정 확보해야" …

M 최고관리자 0 175
newhub_20240926162553238820.jpg
신동렬 전 성균관대 총장(왼쪽부터)과 김무환 전 포항공과대 총장,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이 '초일류 AI 국가로 가기 위한 연구·교육 제도의 개선점'이라는 주제로 대담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국내 주요 대학 전임 총장들은 일반 대학에서 인공지능(AI) 고급인재를 육성하는 것에 대해 “현시점에서는 한계가 명확하다”고 진단했다.
국내 대학 평균 재정으로 AI 고급 인력을 영입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점을 최대 걸림돌로 꼽았다.
이를 해결하려면 16년째 멈춰 있는 등록금을 인상하는 과정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봤다.
 
이 밖에 AI 경쟁력 강화 방안으론 △사기업 유망 인력의 대학 강의 법제화 △모든 대학을 포괄하는 AI 인프라(환경) 구축 등이 제시됐다.
 
26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16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4 GGGF)’에서는 ‘총장과의 대화: 한국 AI의 미래를 논하다’ 좌담회가 진행됐다.
 
김무환 전 포항공과대(POSTECH) 총장과 신동렬 전 성균관대 총장,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이 참석해 AI 관련 대학 교육의 현주소와 개선 과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다음은 좌담회 문답 내용.
 
현재 국내 대학은 AI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인력적 측면에서 준비가 돼 있는가.
 
김 전 총장: 과거 산업혁명의 역사적 흐름을 되새겨보면 1차에서 2차로 넘어가기까지 100년쯤 걸렸다.
2차에서 3차로 이어지는 과정에도 100년이 소요됐다.
하지만 3차부터 AI혁명으로 연결되기까지는 30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이는 대학교수가 과거와 달리 재직 중에도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학습을 끊임없이 병행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대한 대응이 아직까진 변화하는 현실을 따라가기 급급한 실정이다.
 
신 전 총장: 대학도 앞으로 AI가 어떻게 발전할지 모르기 때문에 두려운 점이 많다.
최근 AI 활용도는 사람 언어구사력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앞선 김 전 총장 말씀과 같이 현재 대학 교육은 그런 부분들에 대응하기도 벅찬 상황이다.
 
유 전 총장: 광운대 조교수로 임용되면 연봉이 이것저것 다 해서 얼마가 될 것 같나. 5000만원 정도다.
이는 같은 능력을 갖춘 인력이 일반 기업에 취업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연봉의 절반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AI 관련 인력을 뽑으려고 해도 인력을 확보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상황이 이렇다면 교육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한 차선책을 고민해야 하는데, 뭐가 있을까. 기업 우수 인력이 대학에 나와 관련 강의를 진행하면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인력들이 지도교수 등을 할 수 있도록 법으로 제도화하면 어떨까 싶다.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된 AI교육이 이뤄지려면 어떤 부분이 준비돼야 하는가.
 
유 전 총장: 2009년 이후 대학 등록금이 동결돼 있다.
등록금을 교육부에서 못 올리게 한다.
국가에서 지급하는 장학금은 두 종류로 나뉘는데, 그중 하나가 학교에 지급해서 학생들에게 주는 것이다.
만약 등록금을 올리면 이 장학금을 대학에 안 준다.
장학금 올리는 금액과 등록금 올리는 금액은 거의 같다.
그래서 대학들이 눈치 보여서 못 올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AI 관련 투자 비용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등록금을 못 올리면 그것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하는데 등록금은 16년째 동결 상태고 광운대는 등록금 의존률이 70%를 넘는다.
이를 개선하려면 교육부 예산 구조를 손볼 필요가 있다.
 
교육부 내년 예산이 105조원인데 영·유아와 초중고등학교 교육에 81조3000억원이 간다.
실질적으로 정부가 대학에 지원하는 돈은 4조원 정도다.
전국 대학을 350개로 가정하면 대학별로 100억원이 조금 넘는다.
총장들이 법을 바꿔서 그중 일부만이라도 대학에 투자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데 전혀 먹히지 않고 있다.
 
신 전 총장: 현재 주어진 여건에서 최대화하는 방법은 학교 차원에서 공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수백 개 서버 그룹을 연결해서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전체 학교를 묶는 방식이 될 수 있고, 학부별로 결합하는 형태도 될 수 있다.
 
그렇다면 AI 교육에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는가.
 
김 전 총장: 국가에서 AI 시대를 맞이해서 연구하고 공부할 수 있는 AI 컴퓨팅 중앙센터를 건설하고 모든 대학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때가 됐다.
국가가 AI를 연구하고 공부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고 적어도 대학생 신분인 사람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도서관도 마찬가지다.
도서관을 각 대학에 둘 필요가 없다.
정부가 전자 도서관 하나를 제대로 만들어서 모든 교수와 학생들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줘야 한다.
 
전체 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AI 대학을 운영하는 방안은 어떨까.
 
김 전 총장: 정말 필요하다.
예전처럼 대면으로만 학습하는 방식으론 부족한 시대가 됐다.
전적으로 동의하고 과감한 투자가 일어나야 하고 학생과 교수들을 위해서 필요하다.
 
유 전 총장: 좋은 말이지만 이를 위해선 먼저 교육부 규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대학이 연합해서 조직을 구성하는 건 대학을 서열화해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는 체제에서는 실천이 불가능하다.
그런 것들이 가능해지고 초일류 국가가 되려면 교육부 규제를 없애야 한다.
 
국내 교육은 AI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이란 말을 많이 한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큰 단점은 소통이 사라진다는 것인데, 미래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가.
 
신 전 총장: 사람 간 소통도 중요하고, 앞세대와 뒷세대가 서로 공감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시에 AI와 사람이 소통하는 것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AI와 사람이 잘하는 것을 두고 경쟁하기도 하고, AI가 못하는 것을 우리가 개발하고 교육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 전 총장: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소통과 상대방에 대한 배려다.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AI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조심스러울 정도로 철저하게 준비하고, 무모할 정도로 과감하게 실행할 줄 알아야 한다.
 
유 전 총장: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AI를 주창하지만 사실 그렇다고 우리가 큰 불편함은 못 느끼고 있다.
노년층과 젊은 층과 괴리가 있다고 하지만 평생교육 등으로 커버할 수 있다.
소통을 기반으로 미래 AI 시대를 준비해야 할 때다.

아주경제=한영훈?박진영?김정훈 기자 [email protected]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