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정부 반도체·조선 '대체로 맑음'…車·배터리 '흐림'

 

트럼프 2기 정부 반도체·조선 '대체로 맑음'…車·배터리 '흐림' …

M 최고관리자 0 90

내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통상 불확실성이 커지는 와중에도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으로 반도체 업황 전망이 밝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조선업도 트럼프 화석 연료 부흥책 영향으로 에너지 운반선 발주가 느는 등 호조를 보일 전망이다.
자동차는 트럼프 정부 통상 리스크와 중국 산업 성장 등으로 고전할 것으로 전망됐다.


newhub_2024120308083733714_1733180916.jpg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산업 기상도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11개 주요 업종별 협회·단체와 조사했다.


반도체는 '대체로 맑음'(좋음)으로 예보됐다.
반도체는 데이터센터, 서버 등 AI 산업 인프라 지속투자, AI 기기 시장 출시에 따른 고부가가치 반도체가 견고한 상승세를 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 압박 및 관세 인상 등 불확실성이 있지만, 급격한 시황 악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액은 소폭 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올해 수출은 당초 예상치를 웃돌며 지난해보다 41% 증가한 1390억달러(약 198조원) 내외를 기록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소폭(2.9%) 감소한 1350억달러(약 193조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오히려 늘 전망이다.
고종완 반도체산업협회 전략기획실장은 "내년 세계 반도체 설비투자는 주요국 지원책에 힘입어 올해 대비 7.9% 증가한 1872억달러(약 267조원)로 전망된다"며 "한국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설비 투자가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디스플레이도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스마트폰 AI기능 적용이 본격화해 교체 수요가 늘고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4%가량 증가한 194억8만달러(약 28조원)로 예상된다"면서 "트럼프발 미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른 국내 패널 기업 고객사(애플 등)의 중국 내 점유율 감소 우려는 큰 하방 리스크"라고 했다.


조선, 바이오, 기계도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조선은 트럼프 화석연료 부흥책에 따라 에너지 운반선(탱커, LNG 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건조·수리·선박 수출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이 늘 것으로 기대된다.
내년 선박류 수출액은 올해 대비 9.1% 증가한 267억6000만달러(약 38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온실가스 배출 저감 대응 약화로 인한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 감소 가능성,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국제교역 감소 우려 등은 하방 요인으로 꼽혔다.


바이오는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 기조, 유럽연합(EU)·미국 교체 처방 장려 등으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분야 국내 기업 세계 진출 기회가 늘 것으로 예상됐다.
기계는 트럼프 정부의 대중 무역정책에 따른 미국 내 중국산 대체효과, 세계 반도체 설비 투자 증가 등으로 수출이 소폭 늘 것으로 기대된다.


차, 이차전지, 철강, 석유화학 섬유패션, 건설은 '흐림'(어려움)으로 예보됐다.
차는 트럼프 당선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중국차 산업 팽창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 3.1% 감소한 270만대로 예상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한-필리핀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따른 5% 관세 철폐, 하이브리드차 수출 증가세 등 호재 요인이 있다"면서도 "대미 흑자 비중이 가장 큰 차·차부품 추가 관세 도입 가능성, 코로나 이후 대기수요 소진으로 인한 주요국의 재고량 증가, 보호무역 정책에 따른 현지화 비중 증가 등 불확실성 요인이 더 크다"고 했다.


배터리(이차전지)는 중국에서 과잉 생산된 저가 제품이 유럽 등 주요 시장에 판매되는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장 큰 하방 리스크로 꼽혔다.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중국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중국 제외)은 2021년 18.2%에서 올해 상반기 38%로 급상승 중이다.
다만 최근 주요국들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급증에 따른 수주 확대, 대중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이익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철강은 트럼프 2기 정부 관세 부과 및 수입 쿼터 축소 가능성 우려, 차·건설 등 수요 산업 부진, 중국 공급 과잉에 따른 원가 이하 수출 공세 등 악재가 겹칠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은 누적된 신증설 물량과 구조적 공급 과잉으로 단기간에 극적인 시황 반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섬유패션은 트럼프 정부 대중 고관세 부과가 국내와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중국산 덤핑 물량 증가를 부추기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건설업 부진도 이어질 전망이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한층 격화될 미중 무역 갈등과 중국 저가 공세에다 국내 정치 혼란에 따른 불확실성 지속이 전반적 성장세 하락을 부추길 수 있다는 업계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정부의 실리적 외교 노력은 물론 첨단 산업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시급한 경제 법안들을 국회가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채석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