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동설 위기설'이 불거진 롯데그룹은 현직 대통령의 탄핵과 악연이 깊다. 롯데는 2015년 오너 2세 형제간 경영권 분쟁을 시발점으로 이듬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촉발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창립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당시 신동빈 롯데 회장은 최씨가 주도한 케이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기부해 뇌물공여 혐의로 박 전 대통령과 함께 재판에 넘겨졌고, 유죄가 인정돼 200일 넘게 옥살이를 했다.
공교롭게도 롯데는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촉발된 탄핵정국 한 복판에서 또 위기설로 휘청이고 있다. 시작은 '유동성 위기로 롯데가 공중분해된다'는 지라시였지만, 본질은 현금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그룹의 사업구조다. '롯데껌'으로 국내 사업을 시작한 롯데는 백화점과 면세점, 호텔 등을 거느린 재계 5위 유통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롯데는 소비의 중심이 온라인으로 전환하던 시기 신 회장이 구속수감되면서 e커머스 시장에 대한 10조원의 투자 계획이 흐지부지됐다. 그 사이 쿠팡은 대규모 물류센터 투자를 통해 배송체인을 완성, 매출 기준 국내 최대 유통기업으로 성장했다.
롯데는 2017년 신 회장이 풀려난 이후에도 한동안 그룹의 새로운 캐시카우를 찾는 데 주저했다. 롯데가 바이오와 신소재, 재생에너지 등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대규모 투자에 나선 것은 2022년부터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보수적인 경영 행보를 이어간 것이다. 그 결과 최근 롯데는그룹의 상징인 잠실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내놓고, 알짜 계열사를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사활을 걸고있다. 롯데의 위기설은 업황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된 화학과 건설에서 시작됐지만, 당장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현금 창출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다.
올해 위기설에 휩싸인 기업은 롯데뿐만 아니다. 재계 1위인 삼성조차도 반도체 실적 부진으로 위기설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 경제는 올해 역대급 경기 부진에 직면했다. 특히 고환율과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위축된 소비는 회복 조짐이 안보인다. 성장의 중심축인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은 뒷걸음 중인데, 내년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우려되는 관세 리스크는 벌써부터 기업 투자를 가로막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얼어붙은 경기에 눈폭풍을 몰고 왔다. 지난주 계엄 사태 이후 사흘간 주식시장에선 외국인 투자금 1조원이 빠져나갔다. 무장 계엄군이 국회의사당을 봉쇄한 영상이 국내는 물론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결과다.
문제는 지난 7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이 무산되면서 탄핵 정국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탄핵안 표결 무산을 주도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2선 후퇴 등 '질서있는 퇴진'을 주장하며 한덕수 국무총리 대행체제로 국정을 운영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대통령의 유고 상황이 아닌데 총리 권한대행은 헌법(68조 및 71조)과 위배되는 만큼 야당에서 이를 수용할리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재발의해 오는 12일 처리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민주당은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할 때까지 매주 처리를 시도할 태세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박 전 대통령은 탄핵안의 국회 통과(대통령 직무정지) 후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을 거쳐 석달 뒤 파면됐다. 이번 탄핵안은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이 표결에 계속 불참할 경우 이보다 훨씬 오래 걸릴 것이다. 탄핵정국이 장기화하면 최근 불거진 주요 기업의 위기설은 진짜 위기가 될 수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임기를 포함한 국정운영을 여당에 일임한다고 했다. 여당에서 할 수 있는 '질서있는 퇴진'은 대통령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는 것이다.
지연진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