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우스도 자국 보호주의…인프라 협력 필요"

 

"글로벌 사우스도 자국 보호주의…인프라 협력 필요" …

M 최고관리자 0 75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뿐 아니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도 자국 보호주의로 선회하면서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에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newhub_2024031416480595279_1710402484.jpg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8일 글로벌 사우스 국가 및 협력 분야를 선정하기 위해 학계 및 산업 분야 다수 전문가, 80개 유관 기업, 동남아·서남아·중남미·독립국가연합(CIS)·중동·아프리카 소재 65개 해외 무역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글로벌 사우스는 지구 남반구나 북반구 저위도에 있는 제3세계 개발도상국을 말한다.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브라질, 방글라데시,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이 꼽힌다.


코트라에 따르면 자동차, 전자, 에너지, 건설, 소비재 등 분야에서 해외 사업을 하는 관련 기업 80개사가 글로벌 사우스인 동남아(35.1%), 중남미(23.4%), 중동(18%), 아프리카(11.7%) 등에 진출해 있다.
우리 제조 기업들은 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성과 내수시장 등을 고려해 인도네시아, 인도, 멕시코 등 주요국 위주로 진출해 있고 소비재 기업들은 인도, 인도네시아 등 한류에 우호적인 국가에 진출했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이 자국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면서 새로운 수출 대상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높은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 풍부한 핵심 자원 등을 갖춰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도 받는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도 자국 보호주의로 선회하고 있어 정책 불확실성이 생겼다.
아세안의 전기차 생산 허브화 정책을 추진하는 태국, 서남아의 제조업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인도의 '메이크 인 인디아'·파키스탄의 '메이크 인 파키스탄' 등이 대표적이다.


미중 갈등에 따라 중국이 글로벌 사우스 진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면서 우리 기업들이 이 지역에서 우호적인 정책 환경을 만드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BYD(비야디) 등 중국 업체들이 가격은 물론 기술 경쟁력에서도 우위를 점하며 글로벌 사우스의 자동차 시장판도 자체를 바꾸고 있다는 점에서다.
글로벌 사우스 진출 기업들은 정부가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활용해 정부 간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우리 기업들의 진출 기반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글로벌 사우스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ODA 사업을 확대해 장기적 관점에서 우호적인 정책·시장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다.


특히 인도, 아프리카 등 중앙·지방정부가 공공 인프라 투자에 소극적인 국가를 대상으로 인프라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형민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