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깝고 싼 곳이 대세"…고물가에 달라진 해외여행 풍토

 

"가깝고 싼 곳이 대세"…고물가에 달라진 해외여행 풍토 …

M 최고관리자 0 88

이른바 ‘보복 소비’로 불리며 코로나19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해외여행 수요가 고물가, 고환율 영향으로 한풀 꺾였다.
비용 부담이 적은 일본 등 '가성비' 아시아 여행이 주목받고 있다.


newhub_2024091309340829445_1726187648.jpg

29일 여행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발표한 ‘2024년 10월 국내·해외여행 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전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조사 대상자가 지난 6개월 동안 가장 많이 방문한 지역은 일본(32.3%), 베트남(16.6%), 유럽(8.1%), 호주·괌·사이판(4.2%) 순이었다.
팬더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조사와 비교했을 때 일본과 베트남 여행객은 각각 189%, 116%로 늘고, 유럽과 미국·하와이 여행객은 각각 70%, 52%로 줄었다.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해외여행 예정 지역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응답 점유율은 아시아 77.9%, 유럽 8.9%, 남태평양 6.6%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일본(30.6%)이 가장 높았고 베트남(14.7%), 태국(7.1%), 대만(4.8%), 필리핀(4.4%)이 뒤를 이었다.
반면 코로나 이전 가보고 싶은 곳 1위를 차지하던 유럽의 고비용 국가들과 접근성이 낮은 남태평양 및 미주의 하락세가 커 지난 3년 중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근거리·단기간·저비용을 찾는 여행자의 현실적인 눈높이가 반영되는 모양새다.
그 이면에는 고환율·고물가·고비용이 있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팬더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 비용을 아끼는 긴축 여행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라며 “당분간 근거리·가성비 여행 선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행업계 역시 “당분간 해외여행은 근거리?단기간?저비용 여행지인 아시아 지역 위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침체에 빠진 국내여행업계에는 큰 기회로, 여행을 활성화하고 여행수지의 개선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업계는 막바지 겨울 여행객을 잡기 위해 특가 상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하나투어는 다음 달 8일까지 ‘2024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를 진행한다.
황금연휴를 겨냥한 상품도 벌써 나왔다.
모두투어는 ‘2025 을사년 설맞이 얼리버드 특가 기획전’을 열고 내년 1월 22일부터 2월 1일까지 출발하는 여행 상품을 할인해 판매한다.
내년 설 연휴는 앞뒤로 월요일과 금요일을 낀 1월 28일~30일이다.



김은하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