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3연패·강원 언더도그 반란 린가드·양민혁 효과 ‘구름관중’ [S스토리-혼전 거듭했던 2024년 K리그1 결산]

 

울산 3연패·강원 언더도그 반란 린가드·양민혁 효과 ‘구름관중’ [S스토리-혼전 거듭했던 2024년 K리그1 결산]

M 최고관리자 0 74
떠오르는 해 지는 해
홍명보 떠난 울산, 김판곤이 구해내
윤정환 공격축구로 강원 10위 → 2위
‘최다 우승팀’ 전북 10위… 강등 위기
아슬아슬 ‘생존왕’ 인천 결국 꼴찌
최다 관중 견인한 핫스타
서울 ‘린가드 신드롬’ 첫 50만 기록
강원 ‘천재’ 양민혁 인기에 대흥행
K리그1 250만 유료 관중시대 열어
조현우·양민혁·안데르손 MVP 경쟁


2024 프로축구 K리그1 정규리그 38경기가 모두 마무리됐다.
시즌 막판까지 상위권과 하위권 모두 혼전 양상이 이어지는 무한 경쟁 속에 볼거리가 풍부했다.
‘디펜딩 챔피언’ 울산 HD는 막판 뒷심을 발휘해 3연속 우승을 일구며 왕조 탄생을 알렸다.
시즌 시작 전 주목받지 못했던 강원FC는 언더도그 반란을 일으켰고, ‘전통의 강호’ 전북 현대가 강등권에 처지는 추락도 벌어졌다.
치열한 순위권 혈투 속에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출신 ‘슈퍼스타’ 제시 린가드(FC서울)가 한국 무대에 서며 신드롬을 일으키는 등 K리그1은 250만 유료 관중 시대를 열어젖혔다.

◆울산 3연패·강원 돌풍

정규시즌 챔피언 타이틀은 울산에 돌아갔다.
울산은 38경기에서 21승9무8패로 승점 72를 쌓아 2위 강원(승점 64)을 제치고 정상에 등극했다.
울산은 2022시즌부터 3년 연속 K리그1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으며 왕조 구축에 성공했다.
1996년과 2005년을 포함해 통산 우승 횟수도 5회로 늘렸다.
최다 우승 부문에서 ‘동해안 더비’ 포항(5회)과 동률이다.
K리그1 최다 우승 기록은 전북 현대(9회)가 갖고 있다.

3연패 여정은 쉽지 않았다.
지난 7월 리그 2연속 우승을 이끌었던 홍명보 전 감독이 급작스레 대표팀 지휘봉을 잡으면서 팀을 떠났다.
당초 울산을 배신하지 않을 것 같던 홍 감독이 잡음 속에 떠나 울산은 어수선해진 분위기 속에 하락세를 겪었다.
한때 순위표에서 4위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하지만 새롭게 부임한 김판곤 감독이 선수단 분위기를 수습했고 상승세를 타며 챔피언의 면모를 되찾았다.
부임 3개월 만에 울산을 우승으로 이끈 김 감독은 울산 구단 최초로 선수와 감독으로서 우승을 경험한 주인공이 됐다.

윤정환 감독이 이끈 강원은 ‘강원 동화’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잊을 수 없는 시즌을 보냈다.
지난 시즌만 해도 10위로 승강 플레이오프(PO) 끝에 가까스로 살아남았던 강원은 불과 1년 만에 2위에 등극하며 우승 경쟁을 펼치는 팀으로 탈바꿈했다.
윤 감독의 공격 축구를 앞세운 강원은 ‘고교생 천재’ 양민혁(18)을 필두로 이상헌(26), 황문기(27) 등 젊은피의 활약 속에 돌풍을 일으켰다.
특히 올해 데뷔한 양민혁은 K리그1 38경기에 나서 12골 6어시스트를 기록해 새로운 슈퍼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달의 영플레이어상을 역대 최다인 다섯 차례나 받았다.

우승팀인 울산과 강원의 핵심인 골키퍼 조현우와 양민혁은 올 시즌 리그 최우수선수(MVP) 자리를 놓고도 경쟁한다.
울산은 38경기에서 40골만 허용해 리그 최소 실점을 기록했는데, 조현우는 모든 경기에 출전해 14차례 무실점을 기록했다.
리그 도움왕(13개)인 수원FC 안데르손과 함께 후보에 오른 조현우와 양민혁은 29일 열리는 시상식서 MVP 영예를 기대하고 있다.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