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세계 1위' ESS…배터리업계, 금융·세제 지원 건의

 

한때 '세계 1위' ESS…배터리업계, 금융·세제 지원 건의

M 최고관리자 0 55

한때 세계 1위였다가 잇단 화재로 침체된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배터리 업계는 ESS 초기 설치 비용 지원과 설치·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등을 요구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2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등 전지·ESS 제조사 및 유관 협·단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ESS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newhub_2024072311124561172_1721700765.jpg

정부는 지난달 2036년 세계 에너지 스토리지(ESS) 시장 점유율 35% 목표로 한 '에너지스토리지(ESS)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이에 따라 연간 600MW ESS(2030년까지 총 3.7GW)에 대한 구체적인 입찰 공고계획, 물량 및 설치 예상 지역 등 연도별 보급 세부 이행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ESS 초기 설치 비용 지원 및 재정적 리스크 완화를 위한 융자 지원제도 확대와 ESS 설치자 또는 투자자에 대한 직접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 및 세제 지원 제도를 강화하고, 재생e의 급전가능 자원 등록 의무 및 패널티 제도 도입에 따른 ESS 연계 활성화를 위한 용량요금 적정성 재검토 및 ESS의 추가 인센티브 제도 도입을 건의했다.


해외에서는 ESS 설치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본 공제율 30%에 특정 조건 충족 시 추가 인센티브 제공, 중국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ESS 연계 설치 필수 및 보조금 지원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등 정부 주도의 지원책이 뒷받침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ESS 산업은 과거 보조금 지원, 금융 지원, 투자세액공제 등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을 펼쳐 2018년 약 2.3GWh의 설치와 배터리 시장점유율 79%로 글로벌 1위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화재 사고와 지원 정책 종료로 ESS 시장 성장 둔화가 장기화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국내 ESS 산업의 지속 가능 기반 조성과 시장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초석을 다지는 자리"라며 "정부와 업계 간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채널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국내 ESS 산업 활성화에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현길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0 Comments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C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