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 김택연이 이닝을 마치고 더그아웃으로 복귀하고 있다. 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 “제 장점인 직구를 살리면서 기술적인 발전도 꿈꾸고 있습니다. ” 프로야구 두산의 신인왕 투수 김택연이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자 한다. 시즌 종료 후 휴식기인 만큼 숨을 고를 법도 한데, 이미 내년 시즌 구상을 마쳤다. 더 빠른 공을 던지고, 또 다른 결정구를 마련하는 게 목표다. 주무기인 돌직구를 비롯해 신구종 장착까지 어느 하나 놓칠 생각이 없다. 이른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의지다. 허투루 준비하지 않는다. 그는 “될 때까지 부딪혀 보겠다”며 2025년을 향한 각오를 다졌다. 올 시즌 KBO리그에서 가장 빛난 샛별이었다. 이견이 없을 정도다. KBO 신인상을 기점으로 김택연의 수상 릴레이는 계속되고 있다. 전·현직 야구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최고 신인에도 각각 이름을 올렸다. 2024년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로 두산의 지명을 받은 김택연은 올해 60경기 3승2패4홀드19세이브 평균자책점 2.08(65이닝 15자책)을 마크했다. 고졸 신인 최다 세이브 새 역사를 쓰기도 했다. 종전 기록인 2006년 나승현(롯데)의 16세이브를 시즌 도중 일찌감치 넘어섰다. 직구와 슬라이더 두 구종만으로 충분히 위협적인 투수다. 특히 시속 150㎞를 넘나드는 직구는 무려 75.1% 비중으로 던진다. 직구를 던질 걸 알면서도, 상대 타자는 속수무책이었다는 의미다. | 1일 서울 강남구 호텔리베라에서 열린 2024 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의 날 시상식에서 최고의 신인상을 수상한 두산 투수 김택연(사진 오른쪽), 두산 조성환 코치가 기념 촬영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두산 베어스 제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