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시간제 일자리가 두 배로 늘었다. 보건·사회복지 등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중장년 여성 위주의 시간제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고용이 안정되고 정규직과 차별이 없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는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지난 10년간 시간제 근로자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시간제 일자리는 387만3000명으로 10년 전(183만8000명)과 비교해 90.3% 늘었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가 7.5%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국내 시간제 일자리 수는 지난 10년간 모든 고용 형태를 통틀어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시간제 일자리를 부문별로 분석해보면 여성(70%), 고졸 이하(70%), 300인 미만 중소기업(97%),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39%)을 중심으로 늘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 본부장은 "성별·학력을 기준으로 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 10년간 늘어난 시간제 일자리의 대부분(98%, 376만명)이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 만들어졌다. 또한 고용이 안정되고 임금·복리후생이 좋아 일반 근로자와 큰 차별이 없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의 경우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는 54만5000개로 지난 10년간 3.2배가량 증가했다. 전체 시간제 일자리 중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다만 시간제 근로를 자발적으로 선택한 근로자의 비중은 높아졌다. 지난해 자발적 사유로 시간제 근로를 선택한 근로자의 비중은 59.8%로 10년 전(47.7%)과 비교하면 1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근로조건에 대한 만족으로 선택한 근로자들이 많아졌는데 이는 시간제 일자기에 대한 인식 개선을 의미한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임 본부장은 "고착화된 우리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로 시간제 일자리의 질적 개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가 원활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근로시간 유연화를 포함한 노동개혁이 차질 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수연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